백엔드 개발58 #065. spring boot 에서 redis를 사용한 방법(Session, template, repository)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12. 28. #064. DB 스키마 작성 기본 개념 1. ID 컬럼 - bigint 를 쓰는 것이 좋다. - postgresql에서는 bigserial을 사용한다(bigint + auto increment) - tinyint 는 1byte 로 2^8을 나타낸다. Boolean 타입과 동일하다. 하지만 DB에서는 Boolean 타입이 다시 1 또는 0으로 사용되므로 컬럼은 tinyint로 정의하고 1 또는 0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뿐만 아니라 boolean 타입 컬럼은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은 것이 좋다. - 이외에 smallint(2 byte), int(4 byte), bigint(8byte)이다. int는 4 byte 이니 2^(8*4) 약 21억까지 표현할 수 있다. ID를 표현하는 것이니 unsigned로 42억까지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 2023. 11. 6. #063. 단건 쿼리를 복수형 쿼리로 바꾸기 + map 생성방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9. 12. #062. 확장함수 + reified 적용하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9. 11. #061. firebase CM 도입하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9. 9. #058. 인프라: cloudflare WAF 설정하기 설정이유 sentry로 에러를 로깅하다보면 아래와 같이 악의적인 요청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에 1시간 동안 1.1k 가 넘은 악의적인 요청을 처리한 경험도 있었고, 현재는 자비로 서버 비용을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악의적인 요청들을 프록시 레벨에서 처리하는 것이 중요했다. DNS를 위해 서버 앞단에 cloudflare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loudflare의 WAF(Web Application Firewall)를 적용시키기로 결정했다. WAF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검사하고 필터링하여 악성 요청과 활동을 탐지하고 차단한다. 설정 방법 크게 Custom rules 와 Rate limiting rules를 설정하기로 했다. Custom rules(사용자.. 2023. 8. 26. 이전 1 2 3 4 ··· 10 다음